본문 바로가기주메뉴로 바로가기 카피라이터 바로가기

서브비주얼이미지

학과 소개

토목건축공학과는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기반시설과 건축 환경 조성을 목표로하여 도로, 철도, 교량, 터널, 수자원, 구조물 및 건축물 등 다양한 인프라와 건축 시스템의 설계, 시공, 유지관리 및 재난 대응 기술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하는 전공 입니다. 또한, 친환경 건설 기술과 스마트 건설, 도시재생, BIM(Building Information Modeling) 등 첨단 융합 기술을 바탕으로 실무 중심의 전문성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합니다. 이론과 실무의 균형 있는 교육과정을 통해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는 건설 전문인력을 배출하고 있으며, 미래 도시 및 사회 건설을 선도할 수 있는 학문적 기반을 교육하고 있습니다.

교육목표

토목건축공학과는 첨단 기술과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사회기반시설과 건축물의 설계, 시공, 유지관리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토목 및 건축공학 학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보다 심화된 이론, 실무 및 연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, 스마트 건설 기술, 재난 대응 및 인프라 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연구자와 실무 전문가를 배출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.

  • 분석설계능력 : 공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토목건축공학의 원리와 이해능력, 주요 분석 및 설계 학습을 통하여 창의적 문제 해결 및 연구 역량 배양
  • 공학실무능력 : 토목건축공학의 최신 기술, 분석 및 설계 도구 등의 학습을 통하여 사회가 요구하는 전문 건설 기술 역량 배양

학과 특성화 전략

토목건축공학과는 AI 및 융복합시대의 기술 발전에 발맞춰 스마트 건설기술, 친환경 인프라 개발, 도시재생 및 재난 대응 분야를 중심으로 특성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BIM, 드론, 센서 기반 모니터링 등 첨단 기술을 교육과 연구에 접목하고 있으며, 산학연 협력을 통해 실무형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하고 혁신적인 사회기반시설 및 건축환경 조성에 기여하고자 합니다.

학과 발전 계획

토목건축공학과는 스마트 건설, 친환경 도시 인프라, 재난 대응 기술 등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교육과 연구 역량을 강화할 계획입니다. 산학연 협력을 확대하고, 국제 공동연구 및 학술 교류를 활성화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연구 중심 학과로 발전해 나가고자 합니다. 또한, 실무 중심의 커리큘럼을 통해 창의적이고 전문성 높은 인재를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조성할 예정입니다.

학과 교수진

학과교수진
총인원 6명 비고 사무실
세부전공 교수명
공간정보공학, 방재 및 지진 조재명 자세히보기  주임교수 062-360-5914
물환경, 수자원, 상하수도 고광용 자세히보기
5793
건축구조 및 내풍구조 유장열 자세히보기   5804
소음진동, 건축환경설비 박현구 자세히보기   5550
건축시공 및 건설관리 이종식 자세히보기   5803

교육과정

교육과정표
이수
구분
과목
코드
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기 학점 시간 비고
이론 실기 통합
선수 G00021
구조역학1
구조역학1
토목 건설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을 위하여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 및 이에 따른 내력의 특성, 구조물의 형식 및 형태에 따른 다양한 응력의 해석방법, 구조물에 작용하는 다양한 하중의 종류 및 특성에 대해 학습하고 구조물의 형식 및 형태에 따른 해석의 조건 설정과 적절한 해석방법을 적용하는 이론 및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
Structural Mechanics1 1 3     3  
G00025
건축구조역학1
건축구조역학1
건축물에 작용하는 하중과 지지 조건에 따른 구조물의 내력과 변형거동을 해석하기 위한 기본 이론을 학습한다.
Architectural Structural Mechanics1 2 3 3      
G00026
건축구조역학2
건축구조역학2
보,라멘,트러스 등 다양한 구조물의 정정 및 부정정 구조해석 기법을 학습하고, 실제 구조물의 거동을 수치적으로 해석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
Architectural Structural Mechanics2 3 3 3      
전공 G00003
측량학특론
측량학특론
측량분야는 건설분야의 기획· 설계· 시공 등에 관여하는 학문으로 특화된 이론과 실무분야의 신기술 분야 등을 해석하고 활용한다.
Advanced Surveying 1 3 3      
G00004
공간정보특론
공간정보특론
공간정보시스템의 구성요소, 활용사례, 데이터 표준 및 DB, 지형공간정보의 좌표계, 좌표계 전환, 데이터 종류 및 구조, 지형공간정보 분석 S/W를 활용한 공간분석 및 적지분석 이론 및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
Advanced Geo-spatial Information System 2 3 3      
G00005
원격탐사특론
원격탐사특론
원격탐사 센서 및 탑재체의 구조 및 원리, 에너지의 파장 및 특성, 반사체의 물리적 특성, 입체시의 원리, 영상 처리, 기하학적 보정, 영상 분류 등에 대한 이론적 학습과 함께 위성영상 및 영상 처리 S/W를 이용한 영상처리 분석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
Advanced Remote Sensing 3 3 3      
G00006
콘크리트구조설계특론
콘크리트구조설계특론
현재의 철근콘크리트 설계과정과 규정에 대한 기본원리와 배경에 대해 학습한다. ACI와 KCI에 대해 비교하고 최근의 연구성과와 앞으로의 설계외 시공법의 흐름에 대해 학습한다.
Advanced Concrete Structural Design 3 3 3      
G00011
공사관리특론
공사관리특론
경제적, 기술적인 관점에서의 최적의 건설공사관리를 위해 원가, 공기, 품질, 안전 등의 요소에 대해 학습하며, PM/CM/감리, 건설공사 각 단계별 프로젝트 관리, 각종 공사관리기법에 대한 이론 및 방법을 학습한다.
Advanced Construction Management 5 3 3      
G00012
가치공학연구
가치공학연구
최저의 생애주기비용으로 최적의 필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치공학 프로세스의 단계별 요인, 방법, 전략에 대해 학습하며, 대상 시설물의 기능 분석 방법과 대안 설계 및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
Research on Value Engineering 5 3 3      
G00013
건축시공연구
건축시공연구
우수한 품질과 성능을 갖춘 건축물 시공을 위해 필요로 하는 다양한 공법과 국내외 건축물 시공에 적용된 실제 최적 공법 사례에 대해 학습하며, 최신기술 공법 및 그 동향에 대해 학습한다.
Research o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1 3 3      
G00017
건설재료학특론
건설재료학특론
콘크리트, 강재, 복합재료 등 주요 건설재료의 미세구조, 역학적 특성, 내구성 및 최신 재료 기술에 대한 이론과 응용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
Advanced Construction Material 1 3 3      
G00018
특수콘크리트공학
특수콘크리트공학
고성능 콘크리트, 경량콘크리트 등 특수콘크리트의 재료 특성과 적용 기술을 이해하고, 구조물 성능 향상을 위한 활용 방안에 대해 학습한다.
Special Concrete Engineering 4 3 3      
G00019
친환경건설재료학
친환경건설재료학
기후변화 대응 및 지구 환경 보전을 위해 건설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저탄소, 재활용, 고내구성 재료의 특성과 적용 기술에 대해 학습하며, 친환경 인증 기준과 실무 적용 사례에 대해 학습한다.
Eco-friendly Materials 2 3 3      
G00020
구조공학특론
구조공학특론
복잡한 구조 시스템에 대한 해석과 설계기법을 학습하고, 실제 구조물의 안정성 및 응답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
Advanced Structural Mechanics 2 3 3      
G00035
측지학특론
측지학특론
지구상에 존재하는 제점의 위치를 정밀하게 결정하기 위해서 지구의 기하학적, 물리학적 형상의 결정 원리 및 지구 좌표계의 기준에 대하여 학습하며, 국가 측지기준으로써의 다양한 국가기준점의 구성과 활용 및 최신 위치측정 기술로써 위성측량 기술의 원리와 정밀 데이터 해석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.
Advanced Geodesy 4 3 3      
G00038
도시계획학 특론
도시계획학 특론
도시 설립을 위한 계획 수립 및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해 도시계획 이론, 도시 및 도시환경계획체계, 도시 및 도시환경조사, 도시 및 도시환경분석방법론, 인구추정, 토지이용․교통․기반시설․환경․경관계획 방법 및 각종 관련 규정에 대해 학습한다.
Advanced Urban Planning 4 3 3      
G00039
수문학특론
수문학특론
도시 수문시설 계획 및 홍수량 산정을 위해 물의 생성, 순환, 분포 및 물리화학적 특성, 강수량, 증발/산, 침투, 침루의 분석 및 산정 방법, 하천유량, 유출, 수문곡선, 홍수추적 및 수문해석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
Advanced Hydrology 3 3 3      
G00017
상하수도공학특론
상하수도공학특론
상하수도시설의 계획 및 설계를 위해 상하수도의 기본원리 및 이론, 설계 및 시공의 시설기준, 시방서, 상하수도의 유지관리 요령 및 법적 기준, 하천의 오염물질 처리와 수질관리 방안에 대해 학습한다.
Advanced Water Supply & Sewerage 5 3 3      
논문 000001
논문지도
논문지도
공학석사학위 논문지도 및 논문 미작성자에 대한 보고서 작성을 지도한다.
Guide on Thesis 3  1 1     P/F
합 계 58 57